물환경교실

악취관리정보 및 악취점검

  1. 부지경계선 냄새측정 장소 현황

      부지경계선 냄새측정 장소 현황
      1. ① 측정소(동)
      2. ② 측정소(북)
      3. ③ 측정소(남)
      4. ④ 측정소(서)
  2. 악취관리시설 현황

    악취관리시설 현황
    1. ① 1처리장 침사지,케익야적장 -바이오탈취설비(Bio-cat)
    2. ② 2처리장 침사지, 최초침전지 - 탈취휀, 포기조에서 악취제거
    3. ③ 오니처리시설 – 미생물탈취기
    4. ④ 위생처리장 – 미생물탈취, 활성탄흡착탈취 이중탈취
    5. ⑤ 1처리장 건조시설 - 약액세정탑, UV탈취기 이중탈취
    악취방지시설의 시설명과 규격, 시설 개요 등을 담은 표
    구분 시설명 규격 시설개요
    침사지 1처리장
    Bio-cat
    800㎥/min ×4대 ○개선(2002.10)침사지 알루미늄덮개설치
    2처리장 탈취휀 241㎥/min ×5대 ○밀폐구조로 시공, 포기조로 이송처리
    최초침전지 1처리장 탈취휀 750㎥/min ×4대 ○개선(2002.10)PVDF덮개설치, 포기조로 이송처리
    2처리장 탈취휀 241㎥/min ×5대 ○밀폐구조로 시공, 포기조로 이송처리
    포기조 1,2처리장 덮개설치 33,886㎡ ○개선:1,2처리장 최초 시공시 개방되어 있었으나 덮개 설치(04.12.30 ~ 06.12.29)
    반류수조 1처리장 400㎥/min ×1대 ○2014.02 설치
    1처리장
    탈수기동
    미생물탈취기 1,400㎥/min ×1대 ○2008.12 설치
    2처리장
    상압부상조
    미생물탈취기 200㎥/min ×1대 ○2009.07 설치
    2처리장
    소화농축조
    미생물탈취 220㎥/min ×1대 ○2009.07 설치
    원심농축기동
    1처리장 소화조
    미생물탈취기 90㎥/min ×1대
    80㎥/min ×1대
    100㎥/min ×1대
    ○2006.09 설치
    ○2013.12 설치
    ○2013.12 설치
    음폐수저장소 미생물탈취기 100㎥/min ×1대 ○2014.02 설치
    위생처리장 미생물탈취기
    활성탄흡착식
    활성탄흡착식
    활성탄흡착식
    950㎥/min ×4대
    950㎥/min ×4대
    2,550㎥/min×6대
    120㎥/min ×1대
    ○2016.02 설치
    ○위생처리장 2중 탈취
    오니케익
    야적장
    Bio-cat
    탈취약품
    ○ 신야적장 : 침사지 탈취기, 탈취약품 사용
    ○ 구야적장(협잡물) : 탈취약품사용
    소각장 탈취약품 ○ 탈취약품사용
    1처리장
    건조시설
    약액세정탑
    UV-탈취식
    560㎥/min ×1대
    800㎥/min ×1대
    ○2019.03 설치
    ○건조시설 2중 탈취
    방화1
    중계펌프장
    탈취약 ○ GEL Type 약품
    ※ 풍향, 풍속계: 실시간으로 풍향,풍속 및 강우량 등의 자료가 수합되어 악취민원
    발생시 객관적이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자체 분석 자료로도 활용
  1. 악취 민원발생에 따른 일일 야간특별악취점검

  2. 점검기간 : 2020년 6월 29일 ~ 7월 31일 (23:00 ~ 03:00)

  3. 악취판정표

    악취판정표
    악취 악취세기 구분 설                  명
    0 무취 상대적인 무취로 평상시 후각으로 아무것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
    1 감지취기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없으나 냄새를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상태
    2 보통취기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는 정도의 상태
    3 강한취기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한 냄새를 말하며, 병원에서 특유의 크레졸 냄새를 맡는 정도의 상태
    4 극심한 취기 아주 강한 냄새, 여름철 재레식 화장실에서 나는 냄새를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상태
    5 참기 어려운 취기 견디기 어려운 강한 냄새로써 호흡이 정지될 것 같이 느껴지는 정도의 상태
  4. 점검지점

    부지경계선 냄새측정 장소 현황
  5. ※ 점검지점은 악취발생원 및 민원발생장소 위주로 지정
  6. 악취점검표

    1. PDF(20200630~0702)

      PDF(20200706~0710)

      PDF(20200714~0717)

      PDF(2020072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