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환경교실

홍보관

  • 하수도시스템

    • 하수도가 우리의 생명을 지켜줍니다.

      • 전세계적수인성전염병으로 하수도 시설이 없어 하루에 1만 4천 명이 사망하고 있습니다.
      • (장티푸스, 콜레라 등)에 대한 최고의 예방의료시설이 바로 하수도입니다.
      • * 현대의학 최고의 성과는 맑은 물과 하수도(2007.1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
      • 하수도는 처리장과 관로로 구성됩니다.

      • 가정하수는 하수관로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고
      • 하수처리장에서는 깨끗이 처리되어 하천에 방류됩니다.
      • * 좋은 하수도는 관로와 처리장이 올바르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 하수도는 도시의 혈관이며 신장입니다.

      • 몸의 노폐물이 신장(콩팥)에서 제거되듯이 하수는 하수처리장에서 깨끗해집니다.
      • 하수관로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도시의 혈관입니다.
      • * 혈관과 신장 역할을 하는 하수도가 미비하면 도시는 제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하수도는 이렇습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생활환경을 개선합니다. 냇물과 강을 되살아나게 합니다. 침수피해를 예방합니다.
골목길이 지저분해지고 병원균과
해충, 악취가 발생합니다.
오염된 물이 하천수질을 악화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합니다.
작은 비에도 도시가 침수되어 인명, 재산 피해가 발생합니다.
공중위생이 향상되고 쾌적한 생활환경이 조성됩니다.
오염된 물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므로 하천 생태계가 살아납니다.
빗물이 잘 배수되므로 물난리 걱정이 사라집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 하수도 구성

    하수도는 배수설비, 관로, 처리장으로 구성됩니다.

  • 하수발생 가정, 음식점 등에서 오수가 배출됩니다.
  • 배수설비 버려진 오수는 오수받이에 모여
    하수관로에 연결됩니다.
  • 하수관로 오수는 오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집니다.
  •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장은 오수를 깨끗이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하수도는 이렇게 구성됩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 슬러지는 하수찌꺼기를 말합니다.

    하수처리를 하면 깨끗한 물과 하수찌꺼기로 분리됩니다. 이 하수찌꺼기를 슬러지라고 하며 수분을 충분히 뺀 후 소각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합니다.

  • 분류식 하수도와 합류식 하수도의 차이점

  • 문류식 하수도
  • 합류식 하수도
[출처:한국환경공단]
구분 분류식 합류식
시설
장점
  • 오수관로의 크기가 작습니다.
  • 오수를 하천에 직접 방류하지 않습니다.
  • 침수 다발지역에 유리합니다.
  • 분류식 하수도에 비해 공사가 쉽습니다.
단점
  • 강우 초기 도로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하천에 방류됩니다.
  • 오수관 빗물관의 잘못된 연결, 맨홀과 관로에서 빗물침입으로 SSOs가 발생합니다.
  • 빗물과 함께 오수 일부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CSOs가 발생합니다.
  • 비가 오면 하수처리장 수질이 불규칙합니다.
시설계획
  • 계획하수량: 계획시간최대오수량
  • 최소유속: 0.6㎧
  • 계획하수량: 계획시간최대오수량+계획우수량
  • 최소유속: 0.8㎧(토사유입 고려)

※서울시 하수배제방식은 기본적으로 합류식(90%)을 채택하고 있으며, 신개발지역과 대단위 개발지역(재개발, 재건축, 택지개발 등)은 분류식(10%)으로 되어 있습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 하수관로

    오염된 물은 하수관로를 통해 처리장으로 흘러갑니다.

하수관로 (합류식)의 구성 [출처:한국환경공단]
  • 하수관로 : 오수나 빗물을 모아 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보내는 하수도관
  • 맨홀 : 관거 유지관리를 위해 사람이 들어가도록 만든 시설
  • 오수받이 : 가정 내에 설치하여 오물이 쌓이지 않고 오수를 하수관거로 흘러가게 합니다.
  • 우수토실 : 합류식 하수도에서 갑자기 많은 빗물이 들어올 때 용량이 초과된 빗물을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설
  • 합류식관에서 우수토실은 왜 필요하죠?

하천이 오염됩니다. 효율이 저하됩니다. 일부는 하천으로!
공기 중이나 도로의 오염물질이 빗물에 씻겨
하천이 오염됩니다.
많은 비가 그대로 유입되면 처리시설이 커지고
효율이 저하됩니다.
비가 오면 우수토실에서 적정 하수량을 하수처리장으로, 나머지는 하천으로 방류합니다.
※ 분류식 하수도에서는 처음부터 빗물과 오수가 분리되므로 우수토실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 하수관로도 A/S(유지관리)가 필요해요

    하수관로에 쓰레기나 흙이 들어와 막히면 하수가 제대로 흐르지 못하고 퇴적물이 썩어 악취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퇴적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찌꺼기를 그대로 두면

※하수관로 안에 쌓이는 하수찌꺼기는 혈관질환을 발생시키는 혈전과도 같습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 하수관로는 정기적인 청소를 실시합니다.

관거준설(청소)의 방법 [출처:한국환경공단]
  • 수질오염이란?

    수질오염이란, 물이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 특성이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이용에 문제를 나타내거나 환경의 변화를 일으켜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좁은 의미로는, 주로 가정에서 쓰고 버리는 생활하수, 산업활동에 의한 산업폐수 등 오염물질에 의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고, 공중 보건상 문제를 일으키는 등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 넓은 의미로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수중에 부패성 물질, 유독성 물질 및 부유물질 등 물 이외의 이물질이 들어옴으로써 생활, 농업, 공업, 수산 등 용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없거나 지장을 주는 상태로 되고,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 수질오염의 원인은 그 발생원(지점)에 따라 크게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점 오염원은 고정된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을 말하며, 생활하수가 발생량의 60%를 차지하고 다음이 공장폐수로 39%, 축산폐수가 1%의 순입니다. 생활하수는 발생량이 많다는 점이 문제이지만, 공장폐수는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유독 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 심각합니다. 공장폐수와 축산폐수는 양에 비하여 중금속과 병원균 등을 많이 함유하여 점오염원 종류 모두 각 특징에 따른 관리가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 비점 오염원은 도로, 토양 등에 있는 오염물질이나 영양물질(질소 등)이 지표수 또는 지하수로 씻겨 내려가는 오염원을 말하며, 배출지점이 불특정하고 광범위한 지역에서 대량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최근에 관리를 집중하고 있는 오염원이라 하겠습니다.
  • 점 오염원 방지

    • 공장, 하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등 수질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지점에서 일차적인 처리 과정을 거치는데, 그 원리에 따라 물리적 처리와 화학적 처리,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처리의 예로는 유입되는 폐수에서 비닐봉지 등과 같이 부피가 큰 고형물을 거르는 것과 모래와 같이 비중이 큰 물질을 침전시키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 화학적 방법으로는 침전이 잘 발생할 수 있도록 화학적 응집제를 첨가하여 폐수 내에 포함된 침전성 무기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생물학적 방법은 미생물의 유기물 섭취에 의해 유기물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3가지 방법 중 선택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 비점 오염원 방지

    • 지표수와 지하수로 유출되는 영양물질(질소 등)이나 토양 물질의 양을 줄이기 위해 비료를 너무 많이 주지 않고 식물이 비료성분을 왕성하게 흡수하는 시기에 비료를 뿌리는 등 자연적으로 토양에 영양물질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 또한, 오염원과 수자원 사이에 위치하는 수변 생태계를 보강하며, 식생 완충대를 설치하거나, 불투수층(물이 스며들지 않는 표층)을 줄이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정부와 자자체에서는 수질오염물질을 줄이기 위에 수질환경기준의 설정, 배출허용기준의 설정, 권역별 목표기준/달성기간 설정 등의 각종 수질보전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4년부터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제를 시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 물 절약(실천방법)

    • 목욕은 물을 받아 하는 것보다 샤워를 하고 비누칠을 하는 동안 수도꼭지를 잠그면 약 20%의 물이 절약됩니다.
    • 샤워기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비누칠을 한 다음 씻을 때에만 이용하면 물 사용시간을 3~5분 정도로 단축시킬 수가 있습니다.
    • 세수나 면도, 양치를 할 때는 수도를 잠가 놓고 합니다. 물을 틀어놓고 한다면 6L의 물이 소비됩니다.
    • 양치를 할 때 컵을 사용하면 3컵(0.6리터)의 물이 소비되어 약 5리터의 물을 아낄 수 있습니다.
    • 샴푸나 린스는 되도록 적게 쓰세요. 쓰지 않으면 더욱 좋지요.
    • 그릇을 닦거나 채소를 씻을 때 물을 받아쓰면 수도를 틀어놓고 쓰는 양의 1/10이면 족합니다.
    •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세탁기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에 상관없이 한번에 약 200리터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물이 소비됩니다.
    • 세탁기 용량에 맞게 적당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나 가능하면 내용물을 가득 채워 세탁한다면 물을 아낄 수 있습니다.
    • 야채나 과일 등을 씻을 때는 물을 받아 씻도록 하세요.
    • 식기나 그릇에 묻은 오염물(기름등)은 종이나 티슈로 잘 닦은 후 설거지하여 하수도로 흘러 들어가는 오염 물량을 줄이세요.
    • 음식물 쓰레기는 따로 모아서 버리세요.
    • 가정에서 수돗물의 1/3이 수세식 화장실에 쓰입니다. 수세식 변기는 2단계 레버를 설치 하거나 1.5L 통에 물을 채워 넣거나 벽돌 1-2장을 변기 물통에 넣어 둔다면 약 10%가 절약됩니다.
    • 수도꼭지를 자주 점검하여 누수를 방지합시다. 수도꼭지에서 계속해서 한 방울씩 똑똑 떨 어지면 하루에 65L, 한 달이면 약 20톤의 물을 그냥 버리는 셈입니다.
    • 아파트 계단, 보도, 놀이터 등 공공의 장소의 청소는 될 수 있으면 자주 비로 쓸거나 물 걸레를 사용하도록 합시다. 수도를 틀어놓고 물 청소를 할 때보다 훨씬 많은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물 절약 실천방법에 대한 예시 아이콘
  • 견학안내

    • 일반견학

      • 평일 09:00 ~ 16:00( 주말 제외 )
      • 종합홍보관(관리동 2층) 전시물 관람 및 홍보영화 상영
      • 물재생센터 주요시설 현장견학 (1시간 내외 소요)
    • 1365 봉사활동

    • 꿈길 신청방법

  • 견학신청

    • 견학 담당자와 일정, 인원 협의

    • 견학신청서 및 안전서약서 작성(FAX 또는 E-mail 송부)

      • 전화접수 : 02)3660-2131
      • Fax접수 : 02)3663-6514
      • 담당자 E-mail : rainer90@naver.com
    • 신청서 다운받기

      Word Download Hwp Download

  • 견학신청 시 유의사항

    • 단체견학(20인 이상)을 우선으로 합니다.
    • 견학일정의 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사전에 전화로 재협의해 주십시오.
    • 영상실 좌석 수 여건에 따라 1회 견학인원은 40인까지로 제한합니다.
    • 현장 견학 시 안전사고 우려로 만 7세 이하 어린이는 현장견학이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