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재생시설

물재생과정

수처리과정

하수유입 - 침사지 - 유입펌프장 - 최초침전지(슬러지처리공정) - 생물반응조 - 최종침전지(슬러지처리공정) - 종인(3차)처리시설 - 소독시설 - 방류펌프장 - 한강방류
수처리과정의 시설명, 주요기능, 주요설비를 담고 있는 표
시설명 주요기능 주요설비
침사지 유입되는 하수의 모래, 흙 및 이물질(비닐, 협잡물등)을 제거해준다 침사지, 침사인양기, 스크린, 협잡물제거기
유입펌프장 수처리하기에 적당한 높이까지 하수를 끌어올려 각 침전지에 고루 분배한다. 유입펌프, 정류벽, 유입유량계
최초침전지 약 두시간 체류하면서 BOD 및 SS를 각각 30~35%정도 제거한다. 침전지, 스컴분리기, 슬러지수집기, 슬러지이송펌프
생물반응조 미생물을 성장번식시켜 오염물질(유기물 및 질소, 인)을 제거한다. 교반기, 내부반송펌프, 산기장치, 송풍기
최종침전지 약 3시간 체류하면서 활성슬러지는 침전되어 대부분 생물반응조로 반송되며 일부는 일영슬러지로 농축설비로 보내진다. 침전지, 슬러지수집기, 반송펌프, 잉여슬러지펌프
종인(3차)처리시설 부영양화 영향인자인 인(P)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 약품처리로 제거한다. 약품투입설비, 섬유디스크필터, 급속혼화조, 완속혼화조
소독시설 방류수를 소독하여 병원성미생물을 제거하여 위생적 안정성을 높인다. 약품투입설비
방류펌프장 모든처리를 거친 처리수를 방류시킨다. 방류펌프

슬러지처리

슬러지유입 - 농축설비 - 소화조(소화가스 - 열병합발전소,가온보일러,건조시설,발전시설) - 탈수설비 - 슬러지처리시설(소각), 슬러지처리시설(건조), 수도권매립지(건조매립)
슬러지처리의 시설명, 주요기능, 주요설비를 담고 있는 표
시설명 주요기능 주요설비
농축설비 하수슬러지의 부피감소를 통하여 소화조의 용적부하를 감소시키는 전처리 시설이다. GBT, 원심농축기, 가압부상녹축조, 상압부상농축조
소화조 슬러지를 혐기성 소화하여 감량화, 안정화함과 동시에 부산물인 소화가스(메탄)를 생성하여 대체 에너지로 활용하고 있다. 가스블로워, 폐열회수장치, 가온보일러
탈수설비 소화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춰 감량화하는 시설로 함수율 80%이하의 고체형태가 된다. 원심탈수기, 연압식탈수기
슬러지처리시설(소각) 슬러지를 건조시킨 후 800℃로 소각하여 처리하는 시설이다. 유동상소각로, 대기오염방지시설, 슬러지건조설비
슬러지처리시설(건조) 함수율 80%의 탈수슬러지를 함수율 10%로 감량하여 처리하는 시설이다. 건조기, 증기보일러, SCR설비, 건조슬러지저장소

분뇨처리

분뇨처리의 설비명, 형식 및 규격, 동력, 단위, 수량을 담고있는 표
설비명 형식 및 규격 동력(KW) 단위 수량
트럭스케일 지중식, 50ton, W3m × L15m 2
세차설비 TUNNEL TYPE, 차량직접 이동식 48.57 2
폐기물처리기 드럼식, 500㎥/hr 11 3
협잡물종합처리기 일체형 자동연속식
150㎥/hr
43.5 6
컨베이어(협잡물) 공기압 이송 컨베이어
100ℓ/cycle
2.2 2
컨베이어(침사) 공기압 이송 컨베이어
100ℓ/cycle
2.2 2
공기압축기 스크류식 공기압축기
5.8㎥/min, 9.9kg/㎠
37 4
협잡물호퍼
침사호퍼
STS제 각형 전동개폐식, 20㎥ 3.75 × 2
3.75 × 2
1
1
농축기 저속 드럼농축기 80㎥/hr 5.25 5
부상분리기 용존부상 가압순환방식
2,400㎥/일
0.8 2